검증완료릴게임 ▤ 70.rse392.top ▤ 온라인릴게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야린채용
작성일25-07-19 22:56
조회1회
댓글0건
관련링크
-
http://82.rzz283.top 0회 연결
-
http://23.ryt144.top 0회 연결
본문
이름(닉네임) |  야린채용 |
주소 | [] |
휴대폰번호 | |
이메일 | dziglfft@naver.com |
【84.rse392.top】
바다이야기무료무료야마토릴게임릴게임손오공릴게임 다빈치
바다이야기 황금고래 100원바다이야기 우주전함야마토2202 온라인 슬롯 배팅법 야마토다운로드 오리지날황금성9게임 야마토 게임방법 바다이야기 황금고래 온라인릴게임먹튀검증 온라인 슬롯 머신 게임 황금성게임종류 빠징코 슬롯머신 무료 슬롯 머신 카지노 게임 바다이야기pc버전다운 야마토5다운로드게임사이트 손오공 게임 다운 백경게임사이트 온라인바다이야기 바다이야기 꽁머니 환전 야마토게임다운 고전릴게임 다빈치 릴게임 오션파라 다이스다운로드 프라그마틱 무료슬롯 슬롯머신무료 바다이야기 무료체험 무료충전 릴 게임 황금성게임동영상 슬롯머신 이기는 방법 오션파라다이스예시 바다이야기 pc버전 다운 파친코게임 바다이야기 고래 출현 백경게임다운로드 호게임 오션슬롯 먹튀 온라인식보 바다이야기코드 릴게임모바일 릴게임 손오공 모바일신천지 바다이야기 릴게임 릴게임골드몽릴게임 릴게임연타 빠칭코게임다운로드 황금성게임다운 슬롯 무료스핀 강원랜드 슬롯머신 확률 공개 pc야마토 온라인슬롯사이트 바다이야기2 릴게임 확률 온라인백경 강원랜드 슬롯머신 추천 바다이야기모바일 다빈치다운로드 바다시즌7게임 하이로우하는법 황금성온라인 프라그마틱 슬롯 추천 야마토다운 pc야마토 슬롯머신 게임 바다이야기슬롯 슬롯사이트 순위 강원랜드 잭팟 후기 릴예시게임 뉴야마토 릴게임주소 강원랜드게임종류 파칭코 알라딘설명 바다이야기 하는 법 오리지날야마토 오션파라다이스다운로드 한국파칭코 슬롯머신추천 백경 게임 pc용 황금성 게임 야마토2게임동영상 강원랜드 슬롯머신 후기 바다이야기꽁머니환전윈윈 온라인 릴게임 손오공 일본빠찡코 카카오 야마토 먹튀 오리지날야마토연타예시 황금성 다운로드 바다이야기파칭코 해저이야기사이트 온라인게임순위 2018 10원야마토게임 체리마스터게임 황금성 게임 다운로드 바다이야기파일 양귀비예시 체리마스터 릴게임 황금성공략법 온라인황금성주소 핸드폰바다이야기 놀이터 릴박스 슬롯릴게임 황금성매장 한게임바둑이추천 바다신2영상 메이저릴게임사이트 바나나게임 릴게임뜻 빠찡코 하는 방법 백경게임 다운로드 황금성용가리 온라인백경게임 백경사이트 릴게임먹튀검증 프라 그마 틱 무료체험 머니 황금성게임다운로드 체리마스터 비법 양귀비예시 오징어릴게임 황금성온라인 신천지게임랜드 릴게임 정보 바다이야기PC버전 슬롯 무료 사이트 슬롯 게시판 바다이야기환전가능 우리는 '2022년 세법 개정 누구에게 득됐나' 1편에서 2022년 소득세 개정으로 고소득층이 감세 혜택을 톡톡히 누렸음을 확인했다. 그렇다면 법인세와 종합부동산세, 증권거래세 개정에 따라 관련 세금은 얼마나 줄었고, 누가 혜택을 봤을까. 2편에서 답을 찾아봤다.
법인세 개정을 통해 중소기업보다 대기업이 더 많은 세금 감면 혜택을 봤다.[사진|뉴시스]
■ 법인세 분석 = 법인세는 과세표준에 따라 기존 세율을 1%포인트 낮추는 방식으로 개정했다. 이를 통해 과세표준 규모에 상관없이 2023년 모든 흑자기업은 1%만큼의 감세 혜택을 얻을 것으로 추정됐다.
주식리딩
결과를 보자. 2023 사업연도 기준 법인세는 과세표준 총액 349조원의 1%에 해당하는 3조3898억원 줄었다. 그중 대기업 감세액은 1조8373억원(52.7%), 중소기업 감세액은 1조3299억원(38.1%)이었다. 특히 대기업 중 상호출자기업의 감세액이 8019억원으로 전체 대기업 감세액의 43.6%를 차지했다. '대기업의 대기업'이 가장 큰 감유럽주식시장
세 혜택을 누렸단 거다.
기준을 전환해 이번엔 흑자기업의 법인세를 살펴보자. 흑자기업 1곳당 평균 감세액은 550만원이었는데, 법인별로 평균 감세액 격차가 컸다. 상호출자기업 평균 감세액은 6조4150만원, 중견기업은 7480만원, 중소기업은 230만원이었다. "중소기업이 감세 효과를 톡톡히 볼 것"이란 윤석열 정부의 주장이 틀려도 한참KPX화인케미칼 주식
틀린 셈이다.
수익 규모별 감세액도 달랐다. 수익이 1000만원 이하인 기업(전체의 24.7%)의 업체 1곳당 감세액은 2만원에 불과했다. 소득 '1000만~1억원' 기업(40.1%)은 33만원, '1억~10억원' 기업(29.9%)은 260만원의 세금을 덜 냈다.
반면, '5000억원 초과' 기업 62곳(0.009%제이엠티 주식
)과 '1000억~5000억원' 기업 356곳(0.06%)의 업체당 감세액은 각각 130억7182만원, 16억5415만원에 달했다. 세율은 똑같이 1%포인트 낮췄지만, 기업별로 수익이 다른 만큼 감세 혜택도 수익이 많은 대기업, 특히 상호출자기업들에 쏠렸다.
■ 종부세 분석 = 다음은 종합부동산세(이하 종부세) 개정이 감세에 어떤 영향을바다이야기앱
미쳤는지 살펴보자. 종부세는 주택분 종부세 기본공제를 확대하고, 세율을 인하하는 내용으로 개정됐다. 구체적으로 보면 '1세대 1주택자' 기본공제를 기존 11억원에서 12억원으로, 다주택자 기본공제를 6억원에서 9억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다주택 보유 개인과 법인의 종부세 세율도 낮췄다. 조정대상지역(투기지역이나 투기과열지역) 내 2주택자에게 부과하던 중과세(기존 3주택 보유자처럼 취급해 가중 과세)를 폐지했다.
[사진|뉴시스]
종부세 개정에 따른 개인 2주택자의 세율 변동 내역을 예시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과세표준 '3억원 이하'의 세율은 0.6%에서 0.5%로, '3억~6억원'은 0.8%에서 0.7%로, '6억~12억원'은 1.2%에서 1.0%로 바뀌었다.
'12억~50억원'은 1.6%였는데, 구간을 '12억~25억원'과 '25억~50억원'으로 나눠 각각 1.3%와 1.5%의 세율을 적용하기로 했다. '50억~94억원'은 2.2%에서 2.0%로, '94억원 초과'는 3.0%에서 2.7%로 세율을 낮췄다. 얼핏 봐도 과세표준이 높을수록 세율 인하폭은 더 컸다.
2023년 감세 효과는 법인과 개인으로 구분해서 볼 수 있다. 우선 법인의 경우 '2주택 이하'일 때는 업체당 50만원씩 총 247억원의 감세 혜택을 봤다. '3주택 이상'일 때는 업체당 799만원씩 총 595억원의 세금이 줄었다. 총 감세액은 842억원이었다. '3주택 이상'을 소유한 법인의 감세액은 더 많았다.
이번엔 개인을 보자. 일단 종부세 대상부터 2022년 113만9088명에서 2023년 35만953명으로 69.2% 감소했다. 종부세 총액은 2조5851억원에서 4563억원으로 82.3%나 줄었다. 다만, 여기엔 '착시 효과'가 숨어 있다. 지난 2023년 주택공시가격을 대폭 인하(공동주택 공시가격 평균 18.6% 인하)해 세법 개정과 무관하게 종부세 대상자가 일부 줄었다.
그럼 주택공시가격 변동 변수를 제외한 결과는 어떨까. 감세 혜택을 본 개인은 33만4037명, 총 감세액은 9480억원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3주택 이상' 소유자가 25만7596명(77.2%)이었고, 이들의 세금 절감액은 8019억원(84.6%)이었다. 조정대상지역 내 2주택자를 기존의 3주택자처럼 간주해 중과세를 부과하던 걸 폐지한 효과로 보인다.
반면 '1세대 1주택자' 2만1899명(6.5%)은 총 183억원(1.9%)의 감세 혜택을, '2주택자' 5만4542명(16.3%)은 총 1278억원(13.5%)의 감세 혜택을 누렸다. 종부세 개정 역시 다주택자를 위한 감세였던 거다.
■ 증권거래세 분석 = 마지막으로 증권거래세를 보자. 원래 2020년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를 도입하면 증권거래세는 단계별 인하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금투세 시행이 2년 늦춰지면서 코스피 주식은 0.1%에서 0.08%로, 코스닥 주식은 0.25%에서 0.23%로 0.02%포인트씩 낮췄다.
윤석열 정부가 들어선 2022년 금투세 시행은 다시 2년 뒤로 늦춰졌다. 같은해 세법 개정으로 증권거래세 세율은 2023년 0.03%포인트, 2024년 0.05%포인트 총 0.08%포인트 떨어졌다. 그 결과, 현재 코스피 주식에는 농어촌특별세(0.15%)만 부과하고, 증권거래세는 부과하지 않고 있다. 코스닥 주식에만 0.15%의 증권거래세를 부과하고 있다. 올해 도입할 예정이던 금투세는 당초 계획을 아예 철회했다.
그럼 증권거래세 인하로 얼마만큼의 세금이 줄었을까. 증권거래세는 2023년과 2024년 각각 1조4427억원(이하 전년 대비), 2조3345억원 감소했다. 2년 새 3조7772억원의 증권거래세 수입분이 사라진 셈이다.[※참고: 아쉽게도 투자자별 감세 효과는 알 수 없다. 투자자별 정보가 없어서다.]
[사진|뉴시스]
자! 이제 1편과 2편의 내용을 종합해보자. 소득세와 법인세, 종합부동산세, 증권거래세 개정에 따른 감세 총액은 2023년 기준 9조6430억원이었다. 2022년 정부가 전망한 2023년 감세 총액은 6조1000억원, 2023년 1월 국회예산정책처가 전망한 감세 총액은 6조281억원이었다. 하지만 실제 감세 총액은 3조5000억원 이상 더 많았다. 정부나 국회예산정책처의 예측이 얼마나 허술했는지 엿볼 수 있다.
특히 세법 개정 당시 곳곳에서 제기된 '부자와 대기업을 위한 감세'라는 지적 역시 타당했다. 대부분의 개정 항목에서 고소득층과 대기업이 더 큰 감세 혜택을 누린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이재명 정부가 가야 할 길은 정해져 있을지 모른다. 세수기반을 확충하고, 조세 형평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라도 2022년 개정된 세법을 '제자리'로 돌려놓아야 한다. 하지만 아직까진 별 움직임이 없다. 이재명 정부는 과연 어떤 선택을 할까.
이종석 나라살림연구소 자문위원(회계사)taxfair@hanmail.net
김정덕 더스쿠프 기자juckys@thescoop.co.kr
바다이야기무료무료야마토릴게임릴게임손오공릴게임 다빈치
야마토 연타 ▤ 64.rse392.top ▤ 슬롯머신 무료게임
야마토게임공략법 ▤ 12.rse392.top ▤ 게임황금성
릴게임뜻 ▤ 88.rse392.top ▤ 온라인삼국지
알라딘릴게임다운로드 ▤ 45.rse392.top ▤ 황금성게임공략법
바다이야기 황금고래 100원바다이야기 우주전함야마토2202 온라인 슬롯 배팅법 야마토다운로드 오리지날황금성9게임 야마토 게임방법 바다이야기 황금고래 온라인릴게임먹튀검증 온라인 슬롯 머신 게임 황금성게임종류 빠징코 슬롯머신 무료 슬롯 머신 카지노 게임 바다이야기pc버전다운 야마토5다운로드게임사이트 손오공 게임 다운 백경게임사이트 온라인바다이야기 바다이야기 꽁머니 환전 야마토게임다운 고전릴게임 다빈치 릴게임 오션파라 다이스다운로드 프라그마틱 무료슬롯 슬롯머신무료 바다이야기 무료체험 무료충전 릴 게임 황금성게임동영상 슬롯머신 이기는 방법 오션파라다이스예시 바다이야기 pc버전 다운 파친코게임 바다이야기 고래 출현 백경게임다운로드 호게임 오션슬롯 먹튀 온라인식보 바다이야기코드 릴게임모바일 릴게임 손오공 모바일신천지 바다이야기 릴게임 릴게임골드몽릴게임 릴게임연타 빠칭코게임다운로드 황금성게임다운 슬롯 무료스핀 강원랜드 슬롯머신 확률 공개 pc야마토 온라인슬롯사이트 바다이야기2 릴게임 확률 온라인백경 강원랜드 슬롯머신 추천 바다이야기모바일 다빈치다운로드 바다시즌7게임 하이로우하는법 황금성온라인 프라그마틱 슬롯 추천 야마토다운 pc야마토 슬롯머신 게임 바다이야기슬롯 슬롯사이트 순위 강원랜드 잭팟 후기 릴예시게임 뉴야마토 릴게임주소 강원랜드게임종류 파칭코 알라딘설명 바다이야기 하는 법 오리지날야마토 오션파라다이스다운로드 한국파칭코 슬롯머신추천 백경 게임 pc용 황금성 게임 야마토2게임동영상 강원랜드 슬롯머신 후기 바다이야기꽁머니환전윈윈 온라인 릴게임 손오공 일본빠찡코 카카오 야마토 먹튀 오리지날야마토연타예시 황금성 다운로드 바다이야기파칭코 해저이야기사이트 온라인게임순위 2018 10원야마토게임 체리마스터게임 황금성 게임 다운로드 바다이야기파일 양귀비예시 체리마스터 릴게임 황금성공략법 온라인황금성주소 핸드폰바다이야기 놀이터 릴박스 슬롯릴게임 황금성매장 한게임바둑이추천 바다신2영상 메이저릴게임사이트 바나나게임 릴게임뜻 빠찡코 하는 방법 백경게임 다운로드 황금성용가리 온라인백경게임 백경사이트 릴게임먹튀검증 프라 그마 틱 무료체험 머니 황금성게임다운로드 체리마스터 비법 양귀비예시 오징어릴게임 황금성온라인 신천지게임랜드 릴게임 정보 바다이야기PC버전 슬롯 무료 사이트 슬롯 게시판 바다이야기환전가능 우리는 '2022년 세법 개정 누구에게 득됐나' 1편에서 2022년 소득세 개정으로 고소득층이 감세 혜택을 톡톡히 누렸음을 확인했다. 그렇다면 법인세와 종합부동산세, 증권거래세 개정에 따라 관련 세금은 얼마나 줄었고, 누가 혜택을 봤을까. 2편에서 답을 찾아봤다.
법인세 개정을 통해 중소기업보다 대기업이 더 많은 세금 감면 혜택을 봤다.[사진|뉴시스]
■ 법인세 분석 = 법인세는 과세표준에 따라 기존 세율을 1%포인트 낮추는 방식으로 개정했다. 이를 통해 과세표준 규모에 상관없이 2023년 모든 흑자기업은 1%만큼의 감세 혜택을 얻을 것으로 추정됐다.
주식리딩
결과를 보자. 2023 사업연도 기준 법인세는 과세표준 총액 349조원의 1%에 해당하는 3조3898억원 줄었다. 그중 대기업 감세액은 1조8373억원(52.7%), 중소기업 감세액은 1조3299억원(38.1%)이었다. 특히 대기업 중 상호출자기업의 감세액이 8019억원으로 전체 대기업 감세액의 43.6%를 차지했다. '대기업의 대기업'이 가장 큰 감유럽주식시장
세 혜택을 누렸단 거다.
기준을 전환해 이번엔 흑자기업의 법인세를 살펴보자. 흑자기업 1곳당 평균 감세액은 550만원이었는데, 법인별로 평균 감세액 격차가 컸다. 상호출자기업 평균 감세액은 6조4150만원, 중견기업은 7480만원, 중소기업은 230만원이었다. "중소기업이 감세 효과를 톡톡히 볼 것"이란 윤석열 정부의 주장이 틀려도 한참KPX화인케미칼 주식
틀린 셈이다.
수익 규모별 감세액도 달랐다. 수익이 1000만원 이하인 기업(전체의 24.7%)의 업체 1곳당 감세액은 2만원에 불과했다. 소득 '1000만~1억원' 기업(40.1%)은 33만원, '1억~10억원' 기업(29.9%)은 260만원의 세금을 덜 냈다.
반면, '5000억원 초과' 기업 62곳(0.009%제이엠티 주식
)과 '1000억~5000억원' 기업 356곳(0.06%)의 업체당 감세액은 각각 130억7182만원, 16억5415만원에 달했다. 세율은 똑같이 1%포인트 낮췄지만, 기업별로 수익이 다른 만큼 감세 혜택도 수익이 많은 대기업, 특히 상호출자기업들에 쏠렸다.
■ 종부세 분석 = 다음은 종합부동산세(이하 종부세) 개정이 감세에 어떤 영향을바다이야기앱
미쳤는지 살펴보자. 종부세는 주택분 종부세 기본공제를 확대하고, 세율을 인하하는 내용으로 개정됐다. 구체적으로 보면 '1세대 1주택자' 기본공제를 기존 11억원에서 12억원으로, 다주택자 기본공제를 6억원에서 9억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다주택 보유 개인과 법인의 종부세 세율도 낮췄다. 조정대상지역(투기지역이나 투기과열지역) 내 2주택자에게 부과하던 중과세(기존 3주택 보유자처럼 취급해 가중 과세)를 폐지했다.
[사진|뉴시스]
종부세 개정에 따른 개인 2주택자의 세율 변동 내역을 예시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과세표준 '3억원 이하'의 세율은 0.6%에서 0.5%로, '3억~6억원'은 0.8%에서 0.7%로, '6억~12억원'은 1.2%에서 1.0%로 바뀌었다.
'12억~50억원'은 1.6%였는데, 구간을 '12억~25억원'과 '25억~50억원'으로 나눠 각각 1.3%와 1.5%의 세율을 적용하기로 했다. '50억~94억원'은 2.2%에서 2.0%로, '94억원 초과'는 3.0%에서 2.7%로 세율을 낮췄다. 얼핏 봐도 과세표준이 높을수록 세율 인하폭은 더 컸다.
2023년 감세 효과는 법인과 개인으로 구분해서 볼 수 있다. 우선 법인의 경우 '2주택 이하'일 때는 업체당 50만원씩 총 247억원의 감세 혜택을 봤다. '3주택 이상'일 때는 업체당 799만원씩 총 595억원의 세금이 줄었다. 총 감세액은 842억원이었다. '3주택 이상'을 소유한 법인의 감세액은 더 많았다.
이번엔 개인을 보자. 일단 종부세 대상부터 2022년 113만9088명에서 2023년 35만953명으로 69.2% 감소했다. 종부세 총액은 2조5851억원에서 4563억원으로 82.3%나 줄었다. 다만, 여기엔 '착시 효과'가 숨어 있다. 지난 2023년 주택공시가격을 대폭 인하(공동주택 공시가격 평균 18.6% 인하)해 세법 개정과 무관하게 종부세 대상자가 일부 줄었다.
그럼 주택공시가격 변동 변수를 제외한 결과는 어떨까. 감세 혜택을 본 개인은 33만4037명, 총 감세액은 9480억원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3주택 이상' 소유자가 25만7596명(77.2%)이었고, 이들의 세금 절감액은 8019억원(84.6%)이었다. 조정대상지역 내 2주택자를 기존의 3주택자처럼 간주해 중과세를 부과하던 걸 폐지한 효과로 보인다.
반면 '1세대 1주택자' 2만1899명(6.5%)은 총 183억원(1.9%)의 감세 혜택을, '2주택자' 5만4542명(16.3%)은 총 1278억원(13.5%)의 감세 혜택을 누렸다. 종부세 개정 역시 다주택자를 위한 감세였던 거다.
■ 증권거래세 분석 = 마지막으로 증권거래세를 보자. 원래 2020년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를 도입하면 증권거래세는 단계별 인하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금투세 시행이 2년 늦춰지면서 코스피 주식은 0.1%에서 0.08%로, 코스닥 주식은 0.25%에서 0.23%로 0.02%포인트씩 낮췄다.
윤석열 정부가 들어선 2022년 금투세 시행은 다시 2년 뒤로 늦춰졌다. 같은해 세법 개정으로 증권거래세 세율은 2023년 0.03%포인트, 2024년 0.05%포인트 총 0.08%포인트 떨어졌다. 그 결과, 현재 코스피 주식에는 농어촌특별세(0.15%)만 부과하고, 증권거래세는 부과하지 않고 있다. 코스닥 주식에만 0.15%의 증권거래세를 부과하고 있다. 올해 도입할 예정이던 금투세는 당초 계획을 아예 철회했다.
그럼 증권거래세 인하로 얼마만큼의 세금이 줄었을까. 증권거래세는 2023년과 2024년 각각 1조4427억원(이하 전년 대비), 2조3345억원 감소했다. 2년 새 3조7772억원의 증권거래세 수입분이 사라진 셈이다.[※참고: 아쉽게도 투자자별 감세 효과는 알 수 없다. 투자자별 정보가 없어서다.]
[사진|뉴시스]
자! 이제 1편과 2편의 내용을 종합해보자. 소득세와 법인세, 종합부동산세, 증권거래세 개정에 따른 감세 총액은 2023년 기준 9조6430억원이었다. 2022년 정부가 전망한 2023년 감세 총액은 6조1000억원, 2023년 1월 국회예산정책처가 전망한 감세 총액은 6조281억원이었다. 하지만 실제 감세 총액은 3조5000억원 이상 더 많았다. 정부나 국회예산정책처의 예측이 얼마나 허술했는지 엿볼 수 있다.
특히 세법 개정 당시 곳곳에서 제기된 '부자와 대기업을 위한 감세'라는 지적 역시 타당했다. 대부분의 개정 항목에서 고소득층과 대기업이 더 큰 감세 혜택을 누린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이재명 정부가 가야 할 길은 정해져 있을지 모른다. 세수기반을 확충하고, 조세 형평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라도 2022년 개정된 세법을 '제자리'로 돌려놓아야 한다. 하지만 아직까진 별 움직임이 없다. 이재명 정부는 과연 어떤 선택을 할까.
이종석 나라살림연구소 자문위원(회계사)taxfair@hanmail.net
김정덕 더스쿠프 기자juckys@thescoop.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