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지날 양귀비 ┹ 3.rnf665.top ┹ 바다 슬롯 먹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야린채용
작성일25-06-22 20:32
조회0회
댓글0건
관련링크
-
http://55.rhd445.top 0회 연결
-
http://49.rmx342.top 0회 연결
본문
이름(닉네임) |  야린채용 |
주소 | [] |
휴대폰번호 | |
이메일 | dziglfft@naver.com |
【50.rnf665.top】
야마토게임방법야마토게임 방법온라인야마토일본 야마토 게임
[오영식 기자]
나는 지금, 1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아들과 떨어져 지내고 있다. 그래서 가능한 한 자주, 남극 세종기지에서의 일상을 SNS에 담아 전한다. 멀리 있는 아빠가 어떤 곳에서, 어떻게 살아가는지를 보여주고 싶은 마음 때문이다.
바다이야기 게임
▲ 중장비 해상 운송 고장난 세종기지의 중장비를 바지선에 태워 중국기지로 운송하고 있다. 부피가 큰 장비는 중국의 쇄빙선 도움을 받아 한국까지 운송된다.
ⓒ 오영식
무료야마토
세종기지가 있는 킹조지섬에는 전 세계 8개국이 기지를 운영하고 있다. 날씨가 맑은 휴일이면 서로의 기지를 오가며 함께 운동을 하거나 식사를 나누는 등 다양한 교류가 이뤄진다. 이곳은 언어도, 문화도, 국적도 다양한 사람들이 함께 지내는 작은 지구촌 같다. 그런데 어느 날, 내 SNS에 이런 댓글이 달렸다.
"중국온라인 릴게임 정보
이 세종기지도 뺏으려는 거 아냐?"
세종기지를 방문한 중국 기지 대원들과 함께한 영상에 달린 반응이었다. 그것도 한두 개가 아니었다. 비슷한 내용의 댓글이 수백 개씩 쏟아졌다. 처음에는 대수롭지 않게 넘겼지만, 점점 마음 한구석이 무거워졌다. 정말 그렇게 보이는 걸까?
편견과 선입견의 민낯 그리고 나의 고백
주식생활백서
사실 나도 한국에 있을 때, 혹은 세계 여러 나라를 여행할 때 특정 국가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느낀 적이 있다. 관광지에서 질서를 무시하거나, 큰 소리로 행동하거나, 인종차별적인 태도를 보이는 사람들을 볼 때면 불편한 감정이 드는 건 어쩔 수 없었다.
문제는 그런 일부의 행동이 어느새 '그 나라 사람들은 다 그렇다'는 식으로 일반화HIT보험 주식
되고, 내 마음속에 편견으로 자리 잡아버렸다는 것이다. 솔직히 말하면, 나 역시 그런 집단적 선입견 속에 있었던 것 같다.
2년 전, 나는 아들과 함께 세계여행을 하기로 결심하고 자동차를 러시아로 가져가 동쪽 끝에서 서쪽 라트비아 국경까지 횡단한 적이 있었다. 워낙 넓은 나라이다 보니, 러시아 한 나라를 통과하는 데만 한 달이 걸렸다.
당시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이 한창일 때였다. 한국 역시 제재에 동참한 국가 중 하나였고, 직항 노선마저 끊긴 상태였다. 나는 걱정이 앞섰다. 혹시 러시아인들이 한국인이라는 이유로 불편해하진 않을까? 정치적 감정이 일상으로 번지진 않을까?
하지만 그런 걱정은 기우였다. 내가 만난 러시아인들은 모두 친절했다. 한국인이라는 이유로 불쾌한 반응을 보인 사람은 단 한 명도 없었다. 오히려 관심을 보이며 처음 본 우리 부자를 집으로 초대하고 환대해주었다. 그때 나는 처음으로 깊이 느꼈다.
'국가와 국민을 꼭 동일시할 필요는 없구나. 사람은, 어디에서든 다르구나.'
그 깨달음은 이곳, 남극에서도 다시 떠올랐다. 세종기지를 방문한 중국 기지 대원들은 모두 예의 바르고, 따뜻했다. 한국의 전자제품과 K-팝, 한식을 접할 때마다 연신 엄지를 치켜세우며 감탄했다. '일대일로'니, 정치적 구호니 하는 이념적인 언행을 들은 적도 없다. 그저 함께 나눈 식사와 웃음, 대화 속에서 우리는 친구가 되었다.
▲ 러시아 기지 앞 이동식 플로트 부두 시설이 없는 남극 해안가에 선박이 접안하기 위해서는 러시아 기지의 도움이 필요하다
ⓒ 오영식
러시아 기지의 대원들도 마찬가지다. 우리나라는 대통령까지 우크라이나를 직접 방문하며 몇 년째 군사·인도적 지원을 이어오고 있지만, 그런 외교적 긴장감은 이곳에서 전혀 느껴지지 않는다. 러시아 대원들은 세종기지를 찾을 때마다 "한국인이 최고"라며 밝게 웃으며 인사를 건넨다. 그 웃음 속엔 정치도, 국경도 없었다. 오직 사람이 있을 뿐이다.
지구 끝에서 마주한 진짜 인간관계
세종기지는 다른 나라 기지들과 달리 상대적으로 늦게 설립됐다. 그래서 칠레, 러시아, 중국 등 이웃 기지들과는 바닷길로 약 10km가량 떨어져 있다. 육로는 '크레바스'라 불리는 빙하 균열지대로 막혀 있어, 다른 기지들처럼 차량 이동이 불가능하다. 결국 세종기지에서 활주로가 있는 기지까지 가려면 고무보트를 이용한 해상 이동이 유일한 방법이다.
우리는 여름철, 마지막 보급품을 받는 시기가 다가오면 소형 선박을 띄워야 한다. 문제는 이곳에 바닷가에 제대로 된 부두 시설을 갖춘 기지가 많지 않다는 점이다. 활주로와 가장 가까운 러시아 기지 역시 마찬가지다. 그래서 소형 선박을 안전하게 접안시키기 위해선 러시아 기지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하다.
우리가 보급품이나 인원을 수송하기 위해 러시아 기지 쪽으로 운항할 땐, 사전에 협조를 요청한다. 그러면 러시아 대원이 미리 나와 이동식 플로트를 바다에 설치해준다. 바다에 떠 있는 선박을 안정적으로 접안시키는, 작지만 절대적인 협력이다.
가장 험한 환경 속에서 꽃피운 연대
이런 협력은 생명을 구하는 일에도 이어진다. 얼마 전, 중국 기지의 한 대원이 갑작스러운 뇌졸중 증세로 쓰러졌다. 하지만 이곳은 4월부터 10월까지는 정기 항공편이 끊긴다. 킹조지섬과 가장 가까운 육지는 칠레의 푼타 아레나스(Punta Arenas)라는 도시인데, 이곳까지는 무려 1,200km. 그 사이에는 세계에서 가장 험한 바다로 불리는 드레이크 해협(Drake Passage)이 가로막고 있다.
이처럼 여름철(12월~2월)이 지나면 남극은 사실상 외부와 단절된 고립 생활에 들어간다. 그런데도 누군가 위급한 상황에 놓이면, 주변 국가들은 국적과 체제를 따지지 않는다. 자국의 외교부와 국방부까지 총동원해 항공기를 마련하고, 긴급 후송을 위해 손을 맞잡는다.
▲ 남극 킹조지섬의 기지 교류 행사 킹조지섬에서는 날씨가 좋은 날 주변 국가들과 자주 교류하며 친분을 쌓는다
ⓒ 우재호
그 중국 대원도 그랬다. 여러 기지의 공조와 협력 덕분에 그는 무사히 칠레 병원으로 이송될 수 있었다. 이곳에서는 한 사람의 생명이, 모든 기지의 일처럼 다뤄진다.
이곳은 고립된 생활이 길어질수록 점점 더 많은 것이 부족해진다. 6월이 넘어서면 보급창고의 신선식품은 물론, 주류와 간식까지 동이 나는 일이 잦다. 그럴 때면 인접한 기지에 도움을 청한다. 자국에서 여유 있는 식품을 건네고, 필요한 물품을 서로 교환한다. 이름만 다른 기지일 뿐, 이곳에선 모두가 연결된 하나의 공동체다.
'사회주의 국가', '장기 집권', '선진국과 후진국'이라는 구분은 한국에서나 쓰는 말이다. 이곳에선 아무런 의미가 없다. 우리는 모두, 그저 사람이 사는 기지에서 함께 살아가는 사람일 뿐이다.
▲ 영국 극지 연구선 방문 영국의 탐사선이 세종기지에 방문해 부족한 버터와 신선 식품을 아무런 대가 없이 선물로 주었다
ⓒ 오영식
사람답게 산다는 것의 의미
날씨가 좋은 날이면, 다양한 교류활동이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농구장이 있는 기지에 가서 경기를 하고, 풋살장이 있는 기지에서는 함께 뛰고 땀을 흘린다. 칠레와 아르헨티나 기지에선 남미 전통음식을 맛보고, 살사를 함께 춘다. 세종기지에선 젓가락을 건네며 한식을 대접하고, K-팝을 부르며 웃음을 나눈다.
서로의 SNS에 올라온 가족사진을 보며,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공감의 댓글이 달린다. 함께 밥을 먹는 자리에서 꺼낸 자녀 사진 한 장에 모두가 엄지를 치켜세운다. '먼 가족보다 가까운 이웃사촌이 낫다'는 말이 있다. 지금 이 남극에서는, 그 말이 더없이 실감 난다. 오히려 1년 가까이 볼 수 없는 가족보다도, 지금 옆에 있는 이 사람들이 더 자주 웃고, 더 자주 안아주는 존재가 된다.
그 사람이 어떤 정부 체제 아래에서 왔는지, 세상의 뉴스에서 어떤 나라로 분류되는지는 여기선 중요하지 않다. 지금 내 옆에 있는 건, 그저 가족을 그리워하는 한 사람일 뿐이다.
남극은 한국과는 다르다. 이곳엔 채소도, 과일도, 간식도 늘 부족하다. 무엇 하나 절실하지 않은 것이 없다. 하지만 그보다 더 절실한 건 따뜻한 마음이다. 이곳에서 가장 소중한 자원은 '함께 사는 힘'이다. 여기선 국적보다 먼저, 사람이 보인다.
▲ 세종기지 옆 마리안 소만과 빙붕 세종 기지는 크레바스에 막혀 다른 기지까지 육로 이동이 불가능하다
ⓒ 오영식
지구의 끝, 남극에 와서 나는 많은 것을 내려놓았다. 그중 가장 무겁고 오래된 짐 하나는, 편견이었다. 이제는 누군가가 어느 나라 사람인지보다, 어떤 마음을 지닌 사람인지가 더 중요해졌다. 내가 바라보는 기준이, 국적에서 인간으로 옮겨간 것이다.
비판은 자유다. 정책과 체제, 시스템에 대한 문제제기는 건강한 사회를 위한 필수조건이다. 하지만 사람 자체를 향한 일반화, 얼굴 없는 혐오, 무심한 편견은 또 다른 형태의 오염이다. 남극은 지구에서 가장 깨끗한 땅이라 불린다. 하지만 마음의 오염은, 이곳조차 더럽힐 수 있다.
세종기지에는 여전히 대한민국의 태극기가 휘날린다.그러나 이곳은 국기가 아니라, 사람이 먼저인 곳이다.
덧붙이는 글
야마토게임방법야마토게임 방법온라인야마토일본 야마토 게임
릴게임신천지 ┹ 77.rnf665.top ┹ 릴게임 5만
오리지날 양귀비 ┹ 68.rnf665.top ┹ 릴 야마토
성인릴게임 ┹ 84.rnf665.top ┹ 신규 릴게임
바다 슬롯 먹튀 ┹ 28.rnf665.top ┹ 바다이야기 황금고래
바로가기 go !! 바로가기 go !!
릴야마토 야마토5게임다운로드 체리마스터게임 손오공게임온라인 신천지예시 릴게임동영상 100원바다이야기 바다이야기 도박 빠친코게임 뉴야마토 온라인야마토릴게임 바다 이야기 다운 오션파라다이스다운 온라인신천지 오리지널 바다이야기 황금성포커게임 강원랜드 슬롯머신 확률 공개 오션파라 다이스다운로드 황금성게임다운로드 sp야마토 릴게임이란 슬롯머신무료 슬롯머신 프로그램 바다이야기꽁머니환전 황금성게임공략 법 인터넷오션파라다이스 씨엔조이 릴게임 슬롯사이트 순위 슬롯머신 블랙홀3D 릴게임 오락실게임 유희왕황금성 손오공예시 매장판 상품권릴게임 슬롯머신 원리 야마토3게임다운로드 바다이야기 무료머니 보물섬릴게임 무료 충전 바다이야기 야마토 무료 게임 바다이야기 프로그램 인터넷바다이야기게임 우주전함 야마토 2202 릴게임종류 오리 지날황금성9게임 바다이야기apk 손오공 온라인 게임 우주전함 야마토게임 슬롯머신 하는법 바다이야기넥슨 손오공 게임 다운 안전 슬롯사이트 황금성게임동영상 프라그마틱 홈페이지 오징어릴게임 릴게임다운 황금성게임다운받기 야마토3게임다운로드 슬롯무료게임 바다 슬롯 먹튀 야마토 백경다운로드 슬롯릴게임 오션 프라그마틱 슬롯 조작 빠칭코 슬롯머신 프로그램 바다이야기 부활 릴게임골드몽사이트 바다이야기게임공략방법 야마토릴 무료슬롯머신 핸드폰바다이야기 슬롯버프 무료머니릴게임 릴게임황금포카성 마이크로 슬롯 무료체험 체리마스터 다운로드 슬롯 릴 게임 양귀비예시 릴박스 무료 슬롯 머신 카지노 게임 슬롯머신 무료 온라인빠찡고 신천지게임 다운로드 바다이야기 고래 출현 무료황금성게임 황금성게임종류 카카오야마토먹튀 강원랜드 슬롯 잘 터지는 기계 무료충전현금게임 pc야마토 강원랜드게임종류 황금성예시 오리지널야마토2게임 양귀비예시 야마토 손오공게임온라인 릴게임팡게임 다빈치릴게임먹튀 오션파라 다이스게임 하는법 릴게임 황금성 슬롯머신 확률 야마토오락실게임 황금성 게임랜드 바다이야기확률 무료머니릴게임 바다게임이야기 10원야마토게임 핸드폰바다이야기 신바다이야기 바다이야기 하는 법 우주전함야마토2202 손오공 무료슬롯 우주전함야마토먹튀 릴게임골드몽 바다이야기pc 바다이야기 릴게임 우주전함야마토2199 다빈치 릴게임 먹튀 알라딘먹튀 알라딘 바다이야기 5만 9살 아들과 자동차 세계여행을 하다 갑자기 남극세종과학기지 월동대에 선발된 아빠, 2024년 12월부터 약 1년간 남극기지에서 대기과학 연구원으로 살아가는 이야기를 씁니다. <기자말>[오영식 기자]
나는 지금, 1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아들과 떨어져 지내고 있다. 그래서 가능한 한 자주, 남극 세종기지에서의 일상을 SNS에 담아 전한다. 멀리 있는 아빠가 어떤 곳에서, 어떻게 살아가는지를 보여주고 싶은 마음 때문이다.
바다이야기 게임
▲ 중장비 해상 운송 고장난 세종기지의 중장비를 바지선에 태워 중국기지로 운송하고 있다. 부피가 큰 장비는 중국의 쇄빙선 도움을 받아 한국까지 운송된다.
ⓒ 오영식
무료야마토
세종기지가 있는 킹조지섬에는 전 세계 8개국이 기지를 운영하고 있다. 날씨가 맑은 휴일이면 서로의 기지를 오가며 함께 운동을 하거나 식사를 나누는 등 다양한 교류가 이뤄진다. 이곳은 언어도, 문화도, 국적도 다양한 사람들이 함께 지내는 작은 지구촌 같다. 그런데 어느 날, 내 SNS에 이런 댓글이 달렸다.
"중국온라인 릴게임 정보
이 세종기지도 뺏으려는 거 아냐?"
세종기지를 방문한 중국 기지 대원들과 함께한 영상에 달린 반응이었다. 그것도 한두 개가 아니었다. 비슷한 내용의 댓글이 수백 개씩 쏟아졌다. 처음에는 대수롭지 않게 넘겼지만, 점점 마음 한구석이 무거워졌다. 정말 그렇게 보이는 걸까?
편견과 선입견의 민낯 그리고 나의 고백
주식생활백서
사실 나도 한국에 있을 때, 혹은 세계 여러 나라를 여행할 때 특정 국가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느낀 적이 있다. 관광지에서 질서를 무시하거나, 큰 소리로 행동하거나, 인종차별적인 태도를 보이는 사람들을 볼 때면 불편한 감정이 드는 건 어쩔 수 없었다.
문제는 그런 일부의 행동이 어느새 '그 나라 사람들은 다 그렇다'는 식으로 일반화HIT보험 주식
되고, 내 마음속에 편견으로 자리 잡아버렸다는 것이다. 솔직히 말하면, 나 역시 그런 집단적 선입견 속에 있었던 것 같다.
2년 전, 나는 아들과 함께 세계여행을 하기로 결심하고 자동차를 러시아로 가져가 동쪽 끝에서 서쪽 라트비아 국경까지 횡단한 적이 있었다. 워낙 넓은 나라이다 보니, 러시아 한 나라를 통과하는 데만 한 달이 걸렸다.
당시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이 한창일 때였다. 한국 역시 제재에 동참한 국가 중 하나였고, 직항 노선마저 끊긴 상태였다. 나는 걱정이 앞섰다. 혹시 러시아인들이 한국인이라는 이유로 불편해하진 않을까? 정치적 감정이 일상으로 번지진 않을까?
하지만 그런 걱정은 기우였다. 내가 만난 러시아인들은 모두 친절했다. 한국인이라는 이유로 불쾌한 반응을 보인 사람은 단 한 명도 없었다. 오히려 관심을 보이며 처음 본 우리 부자를 집으로 초대하고 환대해주었다. 그때 나는 처음으로 깊이 느꼈다.
'국가와 국민을 꼭 동일시할 필요는 없구나. 사람은, 어디에서든 다르구나.'
그 깨달음은 이곳, 남극에서도 다시 떠올랐다. 세종기지를 방문한 중국 기지 대원들은 모두 예의 바르고, 따뜻했다. 한국의 전자제품과 K-팝, 한식을 접할 때마다 연신 엄지를 치켜세우며 감탄했다. '일대일로'니, 정치적 구호니 하는 이념적인 언행을 들은 적도 없다. 그저 함께 나눈 식사와 웃음, 대화 속에서 우리는 친구가 되었다.
▲ 러시아 기지 앞 이동식 플로트 부두 시설이 없는 남극 해안가에 선박이 접안하기 위해서는 러시아 기지의 도움이 필요하다
ⓒ 오영식
러시아 기지의 대원들도 마찬가지다. 우리나라는 대통령까지 우크라이나를 직접 방문하며 몇 년째 군사·인도적 지원을 이어오고 있지만, 그런 외교적 긴장감은 이곳에서 전혀 느껴지지 않는다. 러시아 대원들은 세종기지를 찾을 때마다 "한국인이 최고"라며 밝게 웃으며 인사를 건넨다. 그 웃음 속엔 정치도, 국경도 없었다. 오직 사람이 있을 뿐이다.
지구 끝에서 마주한 진짜 인간관계
세종기지는 다른 나라 기지들과 달리 상대적으로 늦게 설립됐다. 그래서 칠레, 러시아, 중국 등 이웃 기지들과는 바닷길로 약 10km가량 떨어져 있다. 육로는 '크레바스'라 불리는 빙하 균열지대로 막혀 있어, 다른 기지들처럼 차량 이동이 불가능하다. 결국 세종기지에서 활주로가 있는 기지까지 가려면 고무보트를 이용한 해상 이동이 유일한 방법이다.
우리는 여름철, 마지막 보급품을 받는 시기가 다가오면 소형 선박을 띄워야 한다. 문제는 이곳에 바닷가에 제대로 된 부두 시설을 갖춘 기지가 많지 않다는 점이다. 활주로와 가장 가까운 러시아 기지 역시 마찬가지다. 그래서 소형 선박을 안전하게 접안시키기 위해선 러시아 기지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하다.
우리가 보급품이나 인원을 수송하기 위해 러시아 기지 쪽으로 운항할 땐, 사전에 협조를 요청한다. 그러면 러시아 대원이 미리 나와 이동식 플로트를 바다에 설치해준다. 바다에 떠 있는 선박을 안정적으로 접안시키는, 작지만 절대적인 협력이다.
가장 험한 환경 속에서 꽃피운 연대
이런 협력은 생명을 구하는 일에도 이어진다. 얼마 전, 중국 기지의 한 대원이 갑작스러운 뇌졸중 증세로 쓰러졌다. 하지만 이곳은 4월부터 10월까지는 정기 항공편이 끊긴다. 킹조지섬과 가장 가까운 육지는 칠레의 푼타 아레나스(Punta Arenas)라는 도시인데, 이곳까지는 무려 1,200km. 그 사이에는 세계에서 가장 험한 바다로 불리는 드레이크 해협(Drake Passage)이 가로막고 있다.
이처럼 여름철(12월~2월)이 지나면 남극은 사실상 외부와 단절된 고립 생활에 들어간다. 그런데도 누군가 위급한 상황에 놓이면, 주변 국가들은 국적과 체제를 따지지 않는다. 자국의 외교부와 국방부까지 총동원해 항공기를 마련하고, 긴급 후송을 위해 손을 맞잡는다.
▲ 남극 킹조지섬의 기지 교류 행사 킹조지섬에서는 날씨가 좋은 날 주변 국가들과 자주 교류하며 친분을 쌓는다
ⓒ 우재호
그 중국 대원도 그랬다. 여러 기지의 공조와 협력 덕분에 그는 무사히 칠레 병원으로 이송될 수 있었다. 이곳에서는 한 사람의 생명이, 모든 기지의 일처럼 다뤄진다.
이곳은 고립된 생활이 길어질수록 점점 더 많은 것이 부족해진다. 6월이 넘어서면 보급창고의 신선식품은 물론, 주류와 간식까지 동이 나는 일이 잦다. 그럴 때면 인접한 기지에 도움을 청한다. 자국에서 여유 있는 식품을 건네고, 필요한 물품을 서로 교환한다. 이름만 다른 기지일 뿐, 이곳에선 모두가 연결된 하나의 공동체다.
'사회주의 국가', '장기 집권', '선진국과 후진국'이라는 구분은 한국에서나 쓰는 말이다. 이곳에선 아무런 의미가 없다. 우리는 모두, 그저 사람이 사는 기지에서 함께 살아가는 사람일 뿐이다.
▲ 영국 극지 연구선 방문 영국의 탐사선이 세종기지에 방문해 부족한 버터와 신선 식품을 아무런 대가 없이 선물로 주었다
ⓒ 오영식
사람답게 산다는 것의 의미
날씨가 좋은 날이면, 다양한 교류활동이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농구장이 있는 기지에 가서 경기를 하고, 풋살장이 있는 기지에서는 함께 뛰고 땀을 흘린다. 칠레와 아르헨티나 기지에선 남미 전통음식을 맛보고, 살사를 함께 춘다. 세종기지에선 젓가락을 건네며 한식을 대접하고, K-팝을 부르며 웃음을 나눈다.
서로의 SNS에 올라온 가족사진을 보며,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공감의 댓글이 달린다. 함께 밥을 먹는 자리에서 꺼낸 자녀 사진 한 장에 모두가 엄지를 치켜세운다. '먼 가족보다 가까운 이웃사촌이 낫다'는 말이 있다. 지금 이 남극에서는, 그 말이 더없이 실감 난다. 오히려 1년 가까이 볼 수 없는 가족보다도, 지금 옆에 있는 이 사람들이 더 자주 웃고, 더 자주 안아주는 존재가 된다.
그 사람이 어떤 정부 체제 아래에서 왔는지, 세상의 뉴스에서 어떤 나라로 분류되는지는 여기선 중요하지 않다. 지금 내 옆에 있는 건, 그저 가족을 그리워하는 한 사람일 뿐이다.
남극은 한국과는 다르다. 이곳엔 채소도, 과일도, 간식도 늘 부족하다. 무엇 하나 절실하지 않은 것이 없다. 하지만 그보다 더 절실한 건 따뜻한 마음이다. 이곳에서 가장 소중한 자원은 '함께 사는 힘'이다. 여기선 국적보다 먼저, 사람이 보인다.
▲ 세종기지 옆 마리안 소만과 빙붕 세종 기지는 크레바스에 막혀 다른 기지까지 육로 이동이 불가능하다
ⓒ 오영식
지구의 끝, 남극에 와서 나는 많은 것을 내려놓았다. 그중 가장 무겁고 오래된 짐 하나는, 편견이었다. 이제는 누군가가 어느 나라 사람인지보다, 어떤 마음을 지닌 사람인지가 더 중요해졌다. 내가 바라보는 기준이, 국적에서 인간으로 옮겨간 것이다.
비판은 자유다. 정책과 체제, 시스템에 대한 문제제기는 건강한 사회를 위한 필수조건이다. 하지만 사람 자체를 향한 일반화, 얼굴 없는 혐오, 무심한 편견은 또 다른 형태의 오염이다. 남극은 지구에서 가장 깨끗한 땅이라 불린다. 하지만 마음의 오염은, 이곳조차 더럽힐 수 있다.
세종기지에는 여전히 대한민국의 태극기가 휘날린다.그러나 이곳은 국기가 아니라, 사람이 먼저인 곳이다.
덧붙이는 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